비글 개요
영국 잉글랜드가 원산이다.
비글의 이름은 요란하게 짖는다, 작다 라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됐다.
사냥개인 하운드 중에서 제일 작은 편이다.
사냥을 잘하는 개답게 행동이 민첩하여 애완용으로 길러지기도 했다.
머리는 나쁘다고 하지만 악마개로 불리는 다른 개들과 같이 높은 지능을 갖고 있다고 추정된다.
애초에 사냥개로 개량되고 키워졌으니 수행능력이 멍청해서는 살아 남을 수 없었을 것이다.
다만 지능이 좋은 리트리버나 보더콜리 같은 견종에 비하면 당연히 지능이 낮은 편이지만, 명령 복종률은 비교도 안되게 낮은 편이다.
단 이것은 지능의 문제가 아니라 견종의 성격인 탓이다.
사실 견종의 지능은 얼마나 똑똑하냐가 아니라 인간의 명령에 얼마나 잘 복종하는지 나타내는 것이다.
북미에서는 인기있는 견종이다.
펄럭대는 처진 귀가 특징이며 특히 아이라인이 이쁘다.
또한 다른 견종들과는 다르게 눈매가 고양이처럼 약간 올라간 것이 특징이다.
악마견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그건 어디까지나 견종에 대한 지식이 너무 없어서 개를 기르는 방법이 잘못되서 그런것이라 생각한다.
대부분 강아지의 말썽은 키우는 사람의 잘못된 훈련에서 기인하는 것이니 잘 알아보고 키우는 것이 모두에게 좋은 반려생활을 안겨줄수 있을 것 같다.
비글이 집 안에서 말썽을 너무 일으키기 때문에 집과 밖을 구분해 놓고 키워야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 다른 개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이 원하는 욕구에 대해 풀어주면 별 다를 바가 없다.
밖에서 키운다고 마당에서 마음 놓고 있으면 비글은 땅을 잘 파는게 특성이라 마당도 멀쩡할수는 없다.
마당이 없는 곳에서 키우기 힘들다고 했지만, 지금도 아파트에서 사람들이 잘 키우고 있다.
하지만 업체분양 보다는 가정분양이 많은 것이 이 견종이다.
애초에 견종에 대한 이해도나 정보를 잘 알아보지 않고 분양 받은 후 말썽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재분양하거나 유기동물 보호소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견종이기도 하다.
자기 주장이 세고 드센 성격을 갖고 있는데 몸집까지 적당히 큰 편이라 주인 말을 잘 안들어 먹기 때문에 센 훈련이 필요하고, 집안에서 기르는 견종이 아니기 때문에 많은 운동량과 큰 행동반경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비글을 마냥 악마견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다른 견종들 처럼 똑같이 생각하고 훈련하고 사람의 사랑으로 보살펴주는 것이 좋다.
비글의 성격
사냥개로 만들어진 견종으로, 영국의 귀족들이 토끼를 사냥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로 알려져있다.
방법은 간단하게 말을 타고 비글들을 들판에 쫙 풀어 놓는다. 들판에 나간 비글들은 주인이나 몰이꾼이 방향만 잡아주면 스스로 들판을 달리며 토끼 흔적을 찾는다.
몇 시간 씩 뛰어 다닐 수 있는 체력은 필수, 조그만 흔적도 그냥 지나치지 않는 호기심, 냄새를 잘 맡는 뛰어난 후각을 갖춘 비글은 우수한 토끼 사냥개이고 그런 녀석들만 골라 교배해 만들어 낸 견종이 비글이다.
토끼 사냥을 하던 견종이다 보니 땅을 잘 파는 습성도 있다.
이렇게 토끼 사냥개로 빛나는 비글의 장점들이 막상 실내에서 애완견으로 키우게 됐을때는 전부 악몽으로 바뀐다.
집안에서 물어뜯고 헤집고 다니지 못하면 좀이 쑤셔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도 평균적인 것이고 개들 간의 성격차이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훈육도 중요하지만 비글을 얌전한 개로 키우기 위해서는 주인이 노력하고 인내하는 수밖에 없다.
결국 주인이 세심하게 관리하고 왕성한 활동량을 채워준다면 실내에서 키우는데도 문제가 없을 것이다.
걱정과는 다르게 한국에서도 실내에서 너무나도 잘 키우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니 결국 개는 그 견종에 대해 잘 알아보고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비글의 특성
비글이 단점만 가진 견종이라면 오늘날 까지 인기 있는 견종이 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가장 큰 장점은 비글만이 가진 친화력이다.
비글은 견종들 중에서도 친화력이 가장 좋은 견종으로 알려져있다.
다른 개들과도 잘 지내고, 아이들과도 잘 지낸다.
개 치고는 다른 견종들에 비해 영역의식이 거의 없고, 낯선 사람을 만나도 꼬리를 흔드는 성격 때문에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경비견으로서는 그러므로 빵점이다.
인기 견종이 가진 지나친 오버브리딩으로 걸리기 쉽다는 유전병들도 없고, 머리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다만 고집이 센 편이라 훈련 난이도가 쉽지 않다는것이 단점이라면 단점이다.
반면에, 낙천적인 성격 때문에 활기찬 견종이라 알츠하이버나 우울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돌보는 치료견으로도 쓰인다.
천성이 하운드독이기 때문에 발이 매우 빠른편이다.
견종 중 빠른편이라고 하기는 힘들지만, 대부분의 중 대형견 중에 비글 크기의 견종 중에서는 거의 제일 빠른편이다.
아무래도 토끼 사냥을 하던 사냥개이다보니 빠른 산책을 하게되면 조심해야 한다.
여기까지 비글에 대해 알아보았다.
댓글